LX세미콘과 성장의 역사를 함께 해오면서, 칩과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연결)를 통한 데이터 처리기술을 연구하는 조직이 있습니다. 바로 MD연구실인데요,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술들을 개발하는 업무적 특성 때문에 여러 부서들과의 소통은 필수, LX세미콘의 마당발 역할을 하고 있는 곳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고해상도 화질에 익숙해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불철주야 기술 연구에 매진하는 MD연구실의 문용환 실장님을 통해 고속 테이터 처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안녕하세요 문용환 실장님, MD연구실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MD연구실은 LX세미콘과 역사를 함께한 프로페셔널한 부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현재 자사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고속 데이터 처리 기술(High-Speed Serial Interface)은 IC를 통해 대화면의 고해상도 화질을 구현하는 핵심기술입니다.
MD연구실은 이 핵심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송수신하는 IP를 설계하고 개발을 지원하는 매우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MD연구실은 Vx1, eDP, MIPI 등의 1)고속 표준 인터페이스와 LX세미콘에서 직접 개발한 CEDS의 패널 인터페이스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2)CDR(Clock Data Recovery) 회로가 기본이 되는 기술로서 Physical layer(아날로그 영역), Link Layer(디지털 영역)로 구성되어 유기적으로 동작됩니다.
1) 고속 표준 인터페이스: IC-IC, 또는 System-System 간에 신호의 송수신과정을 표준화한 것으로 전달하는 신호들의 흐름, 규칙, 기술을 정의함으로써 표준화시켜 호환성을 높인 것입니다. 주로 컨소시엄 또는 협회 등의 활동을 통해 이런 표준이 제정됩니다.
2) CDR: 고속 신호를 송수신하는 가장 기본의 되는 기술로 Clock and data recovery 회로라고 불립니다. 전달되는 고속의 데이터로부터 주파수를 찾아내어 이를 처리할 수 있는 클럭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다시 복원하는 회로를 말합니다.
이를 위해 MD연구실은 기술적인 분야와 자사 사업구조를 고려해 T-Con, DDI 등 Analog 설계를 담당하는 팀과, Digital 분야의 인터페이스 담당 팀을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2. 조직 내 역할도 궁금합니다.
고속 데이터 처리기술이 사용되는 자사 제품에는 MD연구실의 기술을 적용하므로, 거의 모든 사업부와 협업을 하면서 제품 설계 및 양산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MD연구실은 고객사나 개발 부서와 칩에 적용되는 기술 스펙을 논의합니다. Digital 기술이 적용되는 FPGA3)와 Analog 기술이 적용되는 IC를 설계하고 검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설계 후에는 내부의 다양한 부서들과 협업해 최종 IC 검증 후 양산을 위한 준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 및 상품기획 부서와 미래 인터페이스 전략을 같이 기획하기도 하는데요, 우리 부서와 협력하는 모든 부서가 MD연구실의 고객이라는 생각으로 최선을 다해 업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3)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 변경이 불가능한 일반 반도체와 달리, 용도에 맞게 회로를 여러 번 구현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일종

3. 자사 신사업과 연계하여 기술 개발 계획, 구상 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MD연구실만의 신기술 개발 현황도 궁금합니다)
MD연구실의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로 고속 영상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인 CEDS® (Clock Embedded Differential Signaling)는 Timing Controller와 Source Driver IC 두 칩을 연결해주는 패널 구동 인터페이스로, 2008년에 개발된 이래로 많은 양산 경험과 신뢰를 쌓아온 기술입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은 급증하게 되는데, CEDS®는 UHD 이상 고해상도에 적합한 고속 인터페이스입니다. 기술 상용화 후, 해당 라이선스와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확장 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D연구실은 기술을 통해 사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D 부서로써, 회사에서 구상하는 신사업에 도움이 될 만한 MD실의 기술이 있다면 언제든지 협업 할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미래에는 Memory Interface와 관련된 회로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 직접 설계가 필요한 시점에는 MD연구실이 이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준비하려 합니다.
또한 미래에는 MD실이 IP License Business가 가능한 수준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4. MD연구실의 비전과, 산하 구성원들에게 응원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MD연구실은 고속 인터페이스 회로와 주변 회로들을 설계하는 전문 부서이며, 핵심 기술 분야를 담당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관련 업무를 진행하면서, 전체적인 System을 이해하고 Block이나 회로를 이해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칩과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 설계 경험을 쌓음으로써 Application마다 보다 넓은 관점의 경험이 쌓여 제품별 비교가 가능하며, 기술적 시야를 넓힐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도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험이 쌓이면 개인과 조직의 역량이 모두 발전하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기술을 습득하고 그 기술로 어떤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속 인터페이스라는 큰 기술을 포함해 여러 핵심 기술을 다루고 있는 우리 MD연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서로 신뢰와 협업을 통해 MD연구실 여러분들의 역량도 함께 성장할 것이라 확신합니다. 더욱더 즐겁게 일하고 자신감도 키우면서, 업무적인 성장을 이루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