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세미콘, 도전과 혁신의 여정

2023년은 LX세미콘이 설립된 지 24년이 되는 해입니다. 팹리스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서 LX세미콘이 팹리스 1등 기업으로 도약한 이유는 임직원들의 쉼 없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인데요.

설립 이후 24년간 거듭 성장하며 글로벌 팹리스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는 LX세미콘, 이제는 국내 1위, 글로벌 12위의 팹리스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대한민국 팹리스의 리더로 성장했습니다.

국가대표 팹리스 LX세미콘의 도전과 혁신의 여정을 소개하기 위해, 1999년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1999년 11월, 대전광역시 둔산동에 LX세미콘의 전신, 팹리스 기업 ‘실리콘웍스’가 설립됩니다. 당시 벤처 기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지원이 잇따르던 분위기 속에서 설립된 실리콘웍스는, 초창기 직원이 7명에 불과한 벤처 회사였습니다.

반도체 전문가들이었던 설립 초기 멤버들은 당시 미국 일본의 선진 기술을 따라잡으면서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하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이런 노력의 첫 결실을 맺은 건 한·일 월드컵이 한창이던 2002년! 설립 3년 만에, LCD용 멀티채널 드라이버 집적회로(IC)를 개발하여 디스플레이 반도체 시장에 진입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알 만한 글로벌 IT 세트사에 꾸준히 칩을 공급하게 되는데요. 실리콘웍스는 성공적인 개발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며 점차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2006년, 실리콘웍스는 소모되는 전력을 50%까지 줄이는 초 저전력 IP를 개발, 이를 기반으로 T-Con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갔고, 2007년에는 AVDS(데이터전송) 인터페이스 기술을 적용한 COG(칩 온 글래스)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이어서 2008년에는 초고속 초박형 고화질 TV용 CEDS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며, 기술 혁신을 주도했습니다.

매년 신기술을 선보인 LX세미콘, 주력 사업인 드라이버 IC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2007년 5.2%에서 2009년 11.3%까지 크게 증가했고, T-Con 역시 같은 기간 3.5% 에서 11.1%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기술 개발이 뒷받침되어, 1999년 설립 당시 7명의 작은 회사였던 실리콘웍스는 2008년, 어느새 매출액이 1,000억을 넘어 1,200억원을 돌파하는 쾌거를 이룹니다.

2009년 글로벌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속해 성장한 실리콘웍스, 2010년에는 여러 증권사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코스닥에 상장하며 국내 팹리스 기업의 리더로 떠오릅니다.

팹리스의 리더가 된 실리콘웍스, 2014년 LG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게 되는데요. 편입 이후로도 성장세는 지속되어, 2015년에는 어느덧 매출액 5,000억원을 돌파합니다.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단 한 번도 매출액이 떨어지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게 됩니다. 2020년에는 매출액이 1조원을 돌파하며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하게 되죠!

2021년! 실리콘웍스는 다시 한번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됩니다! 바로 LX그룹의 자회사로 편입하며 현재의 사명인 ‘LX세미콘’으로 변경하게 된 것인데요. LX세미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나서도 성장세는 이어집니다.

2021년은 전년대비 매출 63.4% 및 영업이익 292.3% 증가하며, 도드라진 팹리스 기업이 없던 국내 팹리스 업계를 계속해서 선점해 나갔습니다. 특히, LX세미콘의 대표 제품인 DDI (Display Driver IC)는 2018년부터 세계시장 점유율 두 자릿수로 글로벌 TOP 3 안에 드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요!

그리고 마침내 2022년, LX세미콘은 국내 단일 팹리스 기업 최초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하는 쾌거를 이루며 국내 1위, 글로벌 12위의 팹리스 기업으로 도약하게 됩니다.

LX세미콘의 끊임없는 성장에는 DDI외에도 다양한 제품들이 기여하고 있는데요. LX세미콘은 PMIC, T-Con, Touch IC, MCU 등 우리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들을 설계하고 있어요. TV와 모니터,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서 디스플레이, 터치, 모터구동, 전력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반도체를 설계하면서, 우리 일상을 편리하게 해주는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LX세미콘의 설립부터 현재까지, 혁신과 도전의 여정을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꾸준한 성장 뒤에는 우리가 모르는 크고 작은 시련이 있었겠죠? 변화무쌍한 반도체 업계의시장 상황 속에서도 늘 혁신을 고민하고 팹리스 업계를 주도하며 성장해 온 LX세미콘! LX세미콘은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제품군과 기술력을 선보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 나갈 것입니다. 

2024년에도 LX세미콘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관 콘텐츠

[반도체의 모든 것] 완성된 칩이 제품이 되기까지, 반도체 공정 시리즈 3탄 – 후공정 프로세스

드디어 ‘반도체의 모든 것 – 공정 시리즈’의 마지막 단계예요! 지금까지 웨이퍼를 제작하고, 그 위에 회로를 형성하는 전공정까지 살펴봤다면, 이제는 완성된 칩이 실제 제품으로 사용되기 위한 과정, 후공정(Back-End of Line) 과정을 알아볼 차례예요. 후공정은 칩의 전기적 성능을 검사하고, 외부와의 연결 및 보호를 통해 완제품 형태로 완성하는 단계인데요. 즉,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품질을 검증하고 제품으로서의 […]

[세미콘썰] 연말 솔탈 가보자고! MBTI별 반도체 회사원 플러팅

벌써 솔탈 포기한다고? 아직 비장의 무기가 남아있는데?😉 #세미콘썰 #공감썰 📌연말 솔탈 가보자고~! MBTI별 반도체 회사원 플러팅 MBTI 대문자 I도 시도 가능! 내 유식함까지 어필 가능한 특급 플러팅 비법💓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영상에서 확인 고고~ @야 너한테 필요한 거ㅋㅋ [반도체 회사원 플러팅, 이건 알고 쓰자📌] ⭐Display Driver IC      고해상도 화질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반도체로, […]

[반도체 산업 NEWS] 지금 주목해야 할 반도체 산업 동향과 전망 – AI부터 미국·중국 패권 경쟁, 차량용 반도체와 초미세 공정까지!

지금 그 어느 때보다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 그 중에서도 특히 올해는아래 네 가지 키워드가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데요🔥 🔐핵심 키워드🔐 AI 열풍, 미·중 기술 경쟁, 전기차·자율주행 수요 증가, 초미세 공정 진입 2025년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주요 반도체 이슈,LX세미콘과 함께 하나씩 살펴보시죠👀 AI 열풍이 불붙인 반도체 시장🔥 AI가 쓰이지 않는 곳이 없는 요즘! 🧠 […]

Semicon人Us 뉴스레터
구독 신청

LX세미콘 뉴스채널 Semicon人Us의 다양한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LX세미콘 뉴스채널 Semicon人Us의
다양한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주식회사 LX세미콘은 Semicon人Us 뉴스레터 발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 및 위탁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대한 고지
1)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이메일, 뉴스레터 수신•개봉 기록
2)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LX세미콘 뉴스레터 발송, 이벤트 등 광고성 정보 전달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수신거부 시점까지 보관•활용하며 수집 및 이용 목적이 달성된 후 또는 이용자의 동의 철회 요구 시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 고객님께서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미동의 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 개인정보의 취급위탁에 대한 고지
– 수탁자 : 시너지에이앤씨
– 위탁하는 업무의 내용 : LX세미콘 Semicon人Us 뉴스레터 발송 및 발송을 위한 시스템 개발/유지보수
– 위탁 기간 : 위탁계약 종료 혹은 Semicon人Us 뉴스레터 발송 서비스 종료 시점까지

※ 고객님께서 개인정보의 취급위탁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미동의 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3. 이용 제한 대상
– 만 14세 미만은 Semicon人Us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위탁에 동의하며, 신청자는 만 14세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