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더블폰부터 롤러블 TV까지, 최근 여기저기서
보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반으로 접고 돌돌 말기도 하는데,
어떻게 화면이 멀쩡한 걸까?🤔’
⠀
여러분의 궁금증, LX세미콘이 해결해 드립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속 숨겨진 비밀
지금부터 알려 드릴 테니 모두 집중해 주세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어떻게 구현될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란
말 그대로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뜻해요!
⠀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특성의 손상 없이 휘어질 수 있어
접고, 구부리고, 말아도 화면이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
⠀
이것이 구현될 수 있는 건
바로 ‘이 기술’이 있기 때문인데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에 대해
지금부터 소개해 드릴게요👏
유연함의 비결,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주로 활용되는 패널이
OLED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약자로,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입니다
⠀
LED나 LCD와는 다르게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컬러 필터 등의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심플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고,
형태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성이 있죠🌟
⠀
이러한 특성 덕분에 OLED는 대부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활용되고 있는데요!
‘유연함’과 ‘슬림한 베젤’을 구현해 주는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일반 OLED
≠ 플렉서블 OLED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의문,
‘집에 있는 OLED TV를 접어도 화면이 멀쩡할까?’📺
정답은 ‘NO’입니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OLED는
일반 OLED와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딱딱한 유리 기판 대신 Pl(Polyimide)를
기판 소재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
Pl은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유연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갖춰
‘휘어도 깨지지 않는 화면’을 구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죠💡
⠀
거기다 무거운 유리 봉지 대신
얇은 박막을 여러 겹 쌓아 유기층을 보호하는
박막 봉지 공정으로 경량화된 구조를 만드는데요!
⠀
이처럼 플렉서블 OLED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OLED라고 무턱대고 구부렸다간 낭패를 볼 수 있어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에도
활용되는 LX세미콘의
OLED DDI

유연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Pl 기판과 박막 봉지 공정이 구현할게,
선명한 화면은 누가 구현할래?🤔
⠀
바로 LX세미콘이 합니다!
⠀
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 내 픽셀을 제어해
색감을 표현해 주는 반도체, Display Driver IC
설계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
특히 LX세미콘의 OLED Display Driver IC는
디스플레이의 고질적 문제인 열화 현상을
자체 보상 & 화질 개선 알고리즘으로 해결!
⠀
플렉서블,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하게 활용되며
첨단 디스플레이 제품의 선명한 화면을
구현하는 데 활약하고 있다는 사실❤️
📝오늘 알게 된 반도체 상식!
대부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OLED를 기반으로 ‘유연한 구조’를 구현한다
⠀
다음에도 흥미로운 반도체 이야기로
찾아올 테니 그때 또 만나요👋
[LX세미콘 소식 바로가기]
LX세미콘 공식 뉴스룸
LX세미콘 공식 블로그
LX세미콘 공식 유튜브
LX세미콘 공식 페이스북
LX세미콘 공식 인스타그램